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13일 김경수 전 경남도지사와 만나
"헌정수호 세력이 힘을 합쳐야 한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이 만남이 과연 국민을 위한 ‘민주주의 수호’인지,
정치적 셈법이 깔린 자리인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된다.
🔍 민주당의 ‘헌정수호’ 프레임, 국민이 공감할까?
이재명 대표는 이번 만남에서
"헌법 파괴 세력과 맞서 싸우기 위해
민주당이 더 넓은 길을 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과연 국민들은
이 같은 민주당의 주장을 납득하고 있을까?
현재 민주당은 탄핵 정국 속에서
‘내란 수괴’ 프레임을 밀어붙이며
정치적 이득을 노리고 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국민들이 진정으로 원하는 것은
극한 대립이 아닌 안정된 국정 운영과
실질적인 민생 대책이다.
‘헌정수호’를 외치면서도 정작 민주당 내부에서는
친명(親明)과 비명(非明) 갈등이 극심한 상황이다.
이런 상태에서 ‘대연합’을 말하는 것이
과연 진정성 있는 메시지인지 의문이 든다.
⚠️ 김경수의 ‘팬덤정치 폐해’ 발언, 자기반성은 없었다
김경수 전 지사는 이번 회동에서
팬덤정치의 폐해를 극복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정작 그는 지난 대선과
경선 당시 민주당 팬덤 정치의
중심에서 활동했던 인물이었다.
드루킹 댓글 조작 사건으로 실형을 선고받았던 그가
팬덤 정치의 폐해를 논하는 것 자체가
아이러니가 아닐 수 없다.
김 전 지사는 "우리 당의 시스템이 문제"라며
팬덤 정치를 정당 시스템 탓으로 돌렸다.
하지만 문제의 핵심은 민주당이
특정 정치인을 중심으로 내부 비판조차
허용하지 않는 구조를 만들어온 데 있다.
팬덤 정치가 문제라면, 이를 방관하고 이용했던
자신들의 책임을 먼저 돌아봐야 하는 것 아닐까?
🚨 ‘민주주의 회복’이란 명분, 결국 정치적 셈법?
이번 회동이 열린 시점도 절묘하다.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이 진행 중인 가운데
민주당이 '내란 프레임'을
더욱 공고히 하려는 의도가 엿보인다.
김 전 지사가 언급한 ‘더 넓고 강력한
민주주의 연대 구축’도 결국 반윤(反尹) 세력을
결집시키기 위한 명분 쌓기에 불과한 것 아닌가?
‘국민통합’이라는 단어도 등장했지만,
정작 민주당은 내부에서조차 통합을 이루지 못하고
친명-비명 간 갈등이 격화되는 상황이다.
국민통합을 논하기 전에
자신들의 분열부터 해결해야 하는 것 아닐까?
💭 ‘헌정수호’의 본질을 잊지 말아야 한다
헌정수호란 국민을 위한 정치,
민주주의 원칙을 지키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이번 이재명-김경수 회동은
헌정수호보다는 ‘정치적 생존’을 위한
전략적 만남으로 보인다.
진정한 헌정수호는 정치적 이해관계를 떠나
국민의 신뢰를 회복하는 데서 출발해야 한다.
민주당이 진정으로 국민을 위한다면,
탄핵 프레임과 팬덤 정치를 이용한
내부 결속 다지기가 아니라 실질적인
대안 제시에 집중해야 하지 않을까?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생활정보 > 구글트렌드10'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10차 변론, 20일 진행…추가 증인 신문 (1) | 2025.02.14 |
---|---|
경찰, ‘尹 체포 저지’ 김성훈 경호차장 구속영장 재신청 (0) | 2025.02.13 |
헌재, 윤 대통령 탄핵심판 18일 추가 변론기일 지정… 핵심 쟁점은? (0) | 2025.02.13 |
윤 대통령 탄핵심판 두고 여야 충돌… 국회 본회의장 소란 (0) | 2025.02.12 |
윤 대통령 탄핵심판, 변론 종결 여부 미지수… 추가 기일 지정될까? (0) | 2025.0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