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구글트렌드10

트럼프, 철강·알루미늄 25% 관세 공식 발표…반도체·자동차도 검토 중

by 나즈곤야 2025. 2. 11.
728x90
반응형

로이터


1. 트럼프, 보편 관세 본격 도입…철강·알루미늄 25% 관세 확정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0일(현지시간)

미국에 수입되는 철강과 알루미늄 제품에

각각 25%와 10%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공식 발표했다.


이날 백악관 집무실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 부과 포고문에 서명하며

"예외나 면제는 없다"고 못 박았다.

 

이번 조치는 국가를 가리지 않는 ‘보편 관세’로,

본격적인 글로벌 무역 전쟁을

예고하는 조치로 해석된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에 대해

지난 4일부터 10% 추가 관세를 적용한 것과

연이어 이루어진 결정이라 더욱 주목받고 있다.


2. 한국 철강업계, 25% 관세 직격탄 맞나?

한국은 주요 대미 철강 수출국으로,

이번 조치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은 첫 임기(2017~2021년) 때

‘무역확장법 232조’를 적용해

국가 안보를 이유로 철강 제품에 25% 관세를 부과한 바 있다.

 

당시 한국은 미국과 협상을 통해

관세 면제 대신 수출 물량을 제한하는

‘쿼터제’(연 263만 톤 무관세)를 수용했다.


그러나 이번 결정으로 인해,
한국 철강업체들도 25% 관세를 피하기 어려울 가능성이 커졌다.
미국으로 수출하는 철강 제품의 가격 경쟁력이 하락할 전망이다.
한국 철강업계는 미국과의 협상을 다시 추진할 가능성이 높다.

 

이에 대해 업계 관계자들은

"한국이 다시 쿼터제 협상을 시도할 가능성이 있지만,

이번에는 조건이 더욱 까다로울 것"이라고 우려하고 있다.


3. 자동차·반도체·의약품까지? 추가 관세 가능성 대두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

철강·알루미늄 관세 발표와 함께

자동차, 반도체, 의약품에도

추가 관세를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이는 한국 수출 산업 전반에 걸쳐

심각한 타격을 줄 수 있는 요소다.

 

자동차 산업

한국의 대표적인 수출 품목 중 하나로,

미국 시장에서 한국 자동차 브랜드가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추가 관세가 부과될 경우,

현대차·기아 등 한국 자동차 기업의

경쟁력이 약화될 가능성이 크다.


반도체 산업

한국은 세계적인 반도체 강국이며,

미국 IT 기업들의 핵심 부품 공급원이다.

 

하지만 관세가 부과될 경우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의 수출 환경이 악화될 수 있다.


의약품 산업

한국의 바이오·제약 업계도 타격을 받을 가능성이 있다.

 

특히 자동차와 반도체는 한국의 대표적인 수출 품목이기 때문에,

실제 관세가 부과될 경우

한국 경제 전반에 미치는 충격이 클 것으로 예상된다.


4. 한국 정부와 기업, 대응 전략은?

한국 정부와 기업들은

이번 트럼프 대통령의 발표에 대해

대응 전략을 고민하고 있다.

 

📌 외교적 대응 강화

한국 정부는 미국과의 무역 협상에서

쿼터제 재협상 또는 관세 면제 협상

추진할 가능성이 크다.


📌 기업 차원의 대응

한국 기업들은 미국 내 생산 확대,

현지 투자 등을 통해 관세 영향을

최소화하는 방안을 검토할 것으로 보인다.


📌 WTO 제소 가능성

한국이 이번 관세 조치에 대해

세계무역기구(WTO)에 제소할 수도 있다.

 

한국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이번 관세 정책이 향후

미국과의 무역 협상에서 어떤 변수로 작용할지가 주목된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