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윤 대통령 측, "체포 지시 없었다" 주장하지만…
윤석열 대통령 측은 비상계엄 당시
정치인 체포 지시가 없었다고
강하게 부인하고 있습니다.
대통령 본인도 헌법재판소 탄핵심판에서
"호수 위 달 그림자를 쫓는 느낌"이라며,
체포 계획 자체가 없었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를 정면으로 반박하는
핵심 증언과 물증이 추가로 확보되었습니다.
비상계엄 당일 밤 11시 4분,
여인형 전 방첩사령관이
"잡아서 이송하라"는 지시를 내렸습니다.
이재명, 한동훈, 우원식 등 총 14명의 정치인을
체포 대상으로 지정하였습니다.
군 내부에서는 실제 구금 장소를 점검하며
체포를 위한 준비를 진행하고 있었습니다.
"그럼 윤 대통령 측의 주장은 어떻게 되는 것인가요?"
"계획이 없었다던 말과 달리,
이미 실행을 위한 준비가 진행되고 있었던 셈입니다."
2. ‘B1 벙커’ 구금시설 논란과 대체 시설 준비
윤 대통령 측은 "B1 벙커는
구금시설이 아니다"라고 주장했지만,
노영훈 방첩사 수사실장은
검찰 조사에서 정반대의 증언을 하였습니다.
비상계엄 당일,
여인형 전 방첩사령관의 지시로
B1 벙커를 직접 확인하러 갔습니다.
B1 벙커가 구금시설로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되었습니다.
대체 시설로 군사경찰대대 미결수용소를
선정하고 준비를 진행하고 있었습니다.
새벽 1시쯤, 실제로 미결수용소로 이동하여
기존 수감자 3명을 육군교도소로
이감하며 공간을 확보하고 있었습니다.
즉, 체포 후 정치인들을 어디에 구금할지까지
구체적으로 계획이 세워지고 있던 상황이었습니다.
"단순한 대비책이 아니라,
실제로 실행될 계획이었다는 말인가요?"
"그렇습니다. 단순한 가능성이 아니라
구체적인 행동이 있었던 것입니다."
3. "단순 위치 추적이 아니라 구금 지시까지 있었다"
김대우 전 방첩사 수사단장 역시 검찰 조사에서,
💬 "여인형 전 방첩사령관이 단순히
위치 추적만 하라고 한 것이 아니다.
당연히 구금 지시도 하였다"라고 증언하였습니다.
이러한 증언은,
윤 대통령 측이 주장하는 "체포 지시는 없었다"는
말과 정면으로 배치됩니다.
B1 벙커 외에도 추가 구금 장소가 준비되고 있었습니다.
정치인 체포가 단순한 계획이 아니라,
실행 단계에 들어가고 있었음을 증명하고 있습니다.
"이쯤 되면 단순한 해프닝이 아니지 않나요?"
"맞습니다. 구체적인 실행 준비가 있었다는
점이 점점 더 확실해지고 있습니다."
4. 향후 전망
헌법재판소 탄핵심판에서 체포 지시 여부가
핵심 쟁점이 되는 만큼,
이번 증언이 결정적인 역할을 할 가능성이 큽니다.
윤 대통령 측의 기존 주장인
"체포 계획 부인"이
설득력을 잃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검찰이 확보한 증거와 추가 진술이 공개되면서,
탄핵 심판의 방향이 바뀔 수도 있습니다.
"그럼 앞으로 어떻게 될까요?"
"헌법재판소가 이 증언들을 어떻게 해석할지가
가장 중요한 변수입니다.
탄핵심판의 방향이 크게 달라질 수도 있습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생활정보 > 구글트렌드10'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트럼프, 철강·알루미늄 25% 관세 공식 발표…반도체·자동차도 검토 중 (2) | 2025.02.11 |
---|---|
인권위, 윤석열 대통령 ‘방어권 보장’ 권고…야당 “인권위 사망의 날” (0) | 2025.02.10 |
국회 공문엔 ‘국힘’ 직인까지…“마은혁 재판관, 여야 합의 있었다” (0) | 2025.02.09 |
온라인에서 ‘헌재 폭동’ 모의 정황…경찰, 작성자 추적 중 (0) | 2025.02.08 |
검찰, ‘무죄’ 이재용 상고 여부 심의…외부 전문가 의견 듣는다 (0) | 2025.02.06 |